IT/정보처리기사실기 공부

실기 정리 노트 3

phobi-k 2020. 11. 25. 20:38

4. 통합구현

  •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춰 송,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, 단위 기능을 하는 모듈 간의 연계와 통합
  •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
  • 절차(범코식표명: 범이는 코로나 식당에서 표범으로 명세된다)
    •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-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- 연계 데이터 식별자 추가 - 연계 데이터 표현방법 정의 -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
  • 연계 매커니즘
  • 송신(데코인연)
    •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-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-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- 연계 서버 또는 송신 어댑터 전송!
  • 수신
    • 연계 서버 또는 수신 어댑터 수신! -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-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- 운영DB에 연계 데이터 반영
  • 직접 연계 방식: 중간 시스템 없는 것
    • DB Link, API, DB Connection, JDBC
  • 간접 연계 방식
    • 연계 솔루션(EAI+클라이언트서버), ESB, Socket, Web Service
  • 연계 모듈의 구현 환경
    • EAI: 기업 내 각종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솔루션 (포허메하)
      • Point-to-Point: 애플리케이션은 1:1로 연결
      • Hub&Spoke: 단일 접점인 허브시스템 + spoke 여러개
      • Message Bus: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(Bus)를 둔다
      • Hybrid: Hub&Spoke + MessageBox
    • ESB: 애플리케이션간의 연계 등 인터페이스 제공
      • EAI와 비슷한데 서비스 중심
    • 웹서비스: 네트워크 정보를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공유하는 것
      • SOAP: XML기반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 (요즘엔 RESTful 프로토콜 사용)
      • UDDI: WSDL을 등록하여 서비스를 검색하고 접근하는데 사용
      • WSDL: 웹 서비스의 상세정보를 XML로 구현 ,UDDI의 기반이 된다.
    • XML: HTML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다목적 마크업 언어
      • 유니코드 기반으로 다국어 지원
      • 트리구조, 대/소문자 구분